|
치과 개원가가 주목할 새로 달라지는 ‘현지조사’ 지침은? |
치과 개원가가 주목할 새로 달라지는 ‘현지조사’ 지침은?
2025년 8월 1일부터 달라진 「요양기관 현지조사 지침」치과도 더 이상 예외 아냐 … 자진신고제도부터 행정처분심의위원회까지출처 : 덴탈아리랑(https://www.dentalarirang.com)
개정 취지 및 주요 골자는?이번 개정은 ‘국민건강보험법’ 등 관련 법령 개정사항을 반영하고 제도 운영 상 미비점을 보완한 것이 골자다.주요 변경사항은 △현지조사 대상 제외 기준 정비 및 편법기관 예외 확대 △자진신고서 도입 등 조사 의뢰 제외기준 명문화 △공단·심평원의 의뢰기준 및 절차 구체화 △행정처분 이행실태조사 근거 마련 및 강화 △현지조사 거부기관 제재 강화 △행정처분심의위원회 예규 개정 등이다. 보다 면밀한 주의 필요...이번 개정 핵심 7가지 포인트① 조사대상 선정 기준 강화종전에는 ‘신규 개설 6개월 미만’ 기관이나 진료비 규모가 작으면 조사가 제외됐지만, 이제는 △편법 개설 △폐업 후 재개원 △연계 운영 의심 △월 800만 원 이상 부당금액 발생 시 모두 조사대상이 된다.② 자진신고 제도 명문화‘자진신고서(서식 제15호)’를 활용해 외부 제보 없이 부당청구 사실을 스스로 인정하면 해당 내용에 한해 조사가 제외될 수 있다. 단, 이미 민원이나 수사, 언론보도가 있던 경우는 예외다.③ 사전통지 원칙, 단 예외조항 많아정기조사는 원칙적으로 7일 전 ‘조사명령서’와 ‘사전통지서’가 발송된다. 하지만 치과가 포함될 수 있는 △거짓청구 의심 △비급여 진료 후 급여청구 △인력 허위신고 △자료 제출 거부 등의 경우, 사전통지 없이 현장조사가 가능하다.④ 조사 거부 시 고발 및 행정처분조사 중 △서류 제출 거부 △녹음·녹화 무단 진행 △조사관 위협 △출입 거부 등은 모두 ‘조사 거부’로 간주돼 업무정지와 형사고발이 가능하다. 특히 수진자 진료사실 직접 확인 절차도 강화됐다.⑤ 행정처분심의위원회 운영보건복지부는 요양기관의 처분 적정성을 ..
치과 개원가가 주목할 새로 달라지는 ‘현지조사’ 지침은?
2025년 8월 1일부터 달라진 「요양기관 현지조사 지침」치과도 더 이상 예외 아냐 … 자진신고제도부터 행정처분심의위원회까지출처 : 덴탈아리랑(https://www.dentalarirang.com)
개정 취지 및 주요 골자는?이번 개정은 ‘국민건강보험법’ 등 관련 법령 개정사항을 반영하고 제도 운영 상 미비점을 보완한 것이 골자다.주요 변경사항은 △현지조사 대상 제외 기준 정비 및 편법기관 예외 확대 △자진신..
|
|
|
|
|
‘틀니 지원’ 비 피해 특별재난지역 36곳 추가 |
‘틀니 지원’ 비 피해 특별재난지역 36곳 추가
호남~충청권 중심, 영남도 일부 포함…본인부담금 30%
정부가 지난 7월 발생한 호우 피해 특별재난지역 36곳을 추가 지정 선포했다. 해당 지역은 앞선 지역들과 동일한 노인 틀니 건강보험 추가 지원 혜택이 부여된다.
행정안전부는 기존 6개 시·군에 더해 전국 36개 시·군·구 및 읍·면·동 지역을 추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다고 지난 7일 밝혔다.
이에 따른 추가 지역 시·군·구는 ▲광주 북구 ▲경기 포천시 ▲충남 천안시·공주시·아산시·당진시·부여군·청양군·홍성군 ▲전남 나주시·함평군 ▲경북 청도군 ▲경남 진주시·의령시·하동군·함양군 등 16곳이 지정됐다.
이어 읍·면·동 단위에서는 ▲광주 광산구 어룡동·삼도동 ▲세종 전동면 ▲충북 청주시 옥산면·오창읍 ▲충남 서천군 판교면·비인면 ▲전남 광양시 다압면, 구례군 간전면·토지면, 화순군 이서면, 영광군 군남면·염산면, 신안군 지도읍·임자면·자은면·흑산면 ▲경남 밀양시 무안면, 거창군 남상면·신원면 등 20곳이다.
해당 지역에서 피해 사실이 확인된 주민은 만기 도래 여부와 관계없이 급여 노인 틀니 제작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단, 재제작하는 틀니는 기존 급여 적용받은 ‘동종 틀니’만 가능하다.
예컨대 분실·훼손한 틀니가 ‘부분 틀니’라면 ‘부분 틀니’만 재제작 신청할 수 있다는 뜻이다. 또한 30%의 본인부담금도 발생한다.
종류별 급여 지원 금액은 치과의원 기준 ▲레진상 완전틀니 94만1350원 ▲금속상 완전틀니 109만1440원 ▲부분틀니 114만5130원이다.
지원 희망자는 지자체에서 발급한 피해사실확인서를 팩스, 우편 또는 방문 접수 등을 통해 건보공단 지사로 제출해야 한다. 장애인 보조기기는 처방전과 사전 승인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틀니 지원’ 비 피해 특별재난지역 36곳 추가
호남~충청권 중심, 영남도 일부 포함…본인부담금 30%
정부가 지난 7월 발생한 호우 피해 특별재난지역 36곳을 추가 지정 선포했다. 해당 지역은 앞선 지역들과 동일한 노인 틀니 건강보험 추가 지원 혜택이 부여된다.
행정안전부는 기존 6개 시·군에 더해 전국 36개 시·군·구 및 읍·면·동 지역을 추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다고 지난 7일 밝혔다.
이에 따른 추가 지역 시·군·구는 ▲광주 북구 ▲경기 포천시..
|
|
|
|
|
치과 환자 발치 줄고, 스케일링 늘었다 |
치과 환자 발치 줄고, 스케일링 늘었다
발치 10만 명 감소, 스케일링 342만 명 껑충충치 치료 소폭 증가, 치아 홈메우기 큰 걸음심평원, 2020~2024년 통계
최근 5년간 치과 발치 환자는 줄고 스케일링 환자는 크게 늘었다. 또 충치 치료가 소폭 늘어나는 동안, 치아 홈메우기는 큰 걸음을 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최근 2020~2024년 별도산정수가 포함 항목에 관한 통계를 발표했다. 별도산정수가 포함 항목이란, 기본 행위 산정 후 조건에 따라 추가로 별도 산정하도록 만들어진 수가다. 예를 들어, 장애인 가산 수가 항목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에 따르면, 지난 2020~2024년 발치 환자는 10만여 명 줄었다. 추이를 살펴보면 ▲2020년 584만 명에서 ▲2021년 597만 명으로 소폭 올랐으나, 그 뒤 내림세로 접어들어 ▲2022년 586만 명 ▲2023년 581만 명 ▲2024년 574만 명까지 내려섰다.
이처럼 발치가 뒷걸음질하는 동안 스케일링(치석제거)는 껑충 뛰어올랐다.
같은 기간 스케일링 환자는 ▲2020년 1340만 명 ▲2021년 1443만 명 ▲2022년 1505만 명 ▲2023년 1599만 명 ▲2024년 1682만 명으로 지난 5년 동안 단 한 차례의 감소도 없이 342만 명가량 수직 상승했다.충치 치료(떼우기)와 치아 홈메우기도 일부 변동이 있었다.
이 기간 충치 치료는 ▲2020년 572만 명 ▲2021년 573만 명 ▲2022년 556만 명 ▲2023년 567만 명 ▲2024년 580만 명으로 등락을 거듭한 끝에 8만 명가량 늘었다.
또 이와 더불어 치아 홈메우기도 전진했다. ▲2020년 61만 명에서 ▲2021년 75만 명으로 대폭 증가한 치아 홈메우기는 이듬해인 ▲2022년 71만 명으로 꺾였으나, ▲2023년 72만 명 ▲2024년 74만 명까지 빠른 회복세를 보이며, 결과적으로 최근 5년 동안 13만..치과 환자 발치 줄고, 스케일링 늘었다
발치 10만 명 감소, 스케일링 342만 명 껑충충치 치료 소폭 증가, 치아 홈메우기 큰 걸음심평원, 2020~2024년 통계
최근 5년간 치과 발치 환자는 줄고 스케일링 환자는 크게 늘었다. 또 충치 치료가 소폭 늘어나는 동안, 치아 홈메우기는 큰 걸음을 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최근 2020~2024년 별도산정수가 포함 항목에 관한 통계를 발표했다. 별도산정수가 포함 항목이란, 기본 행위 산정 후 조건에 따라 추가로 별도 산정..
|
|
|
|
|
|
|
|
|
10주년 맞은 ‘틀니의 날’, 소통채널 강화한 보철학회 |
10주년 맞은 ‘틀니의 날’, 소통채널 강화한 보철학회
‘치아 상실과 보철치료가 수명에 미치는 영향’ 연구결과 발표
▲ 7월 1일 개최된 '제10회 틀니의 날' 기념식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잔존치아 개수가 줄면 생존율도 감소”, “보철치료 통한 기능 회복으로 건강수명 연장 가능”
대한치과보철학회(회장 곽재영·이하 보철학회)가 지난 7월 1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틀니의 날’ 10주년 기념식에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복지부 산하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사망원인통계를 연계한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인의 치아 상실과 보철치료가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그 결과 치아 개수 감소가 사망 위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60세 이상 한국인에게서 잔존치아 개수가 1개 감소할 때마다 사망위험이 약 1.2% 증가했고, 치아가 4개 상실되면 약 5%, 8개 상실되면 약 10% 사망위험이 증가했다. 잔존치아가 20개 미만일 때 사망위험이 급격히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하나 흥미로운 것은 보철치료가 생존율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0~20개 이하의 치아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 중에서 보철치료를 받지 않은 군은 받지 않은 군에 비해 사망위험도가 15.5% 낮아졌다. 잔존치아 개수가 적을 때 고정성 보철, 부분틀니, 완전틀니로 보철치료를 할 경우 생존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 입증됐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았다.
틀니의 날 10주년을 맞는 보철학회는 올해 더욱 풍성한 대국민 홍보를 진행했다.
▲ 무료 치과검진 이동버스 지원(사진제공_대한치과보철학..
10주년 맞은 ‘틀니의 날’, 소통채널 강화한 보철학회
‘치아 상실과 보철치료가 수명에 미치는 영향’ 연구결과 발표
▲ 7월 1일 개최된 '제10회 틀니의 날' 기념식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잔존치아 개수가 줄면 생존율도 감소”, “보철치료 통한 기능 회복으로 건강수명 연장 가능”
대한치과보철학회(회장 곽재영·이하 보철학회)가 지난 7월 1일 한..
|
|
|
|
|
경기도치과의사회, 급여기준 개선 토론회 성료 |
[치과신문] 경기도치과의사회, 급여기준 개선 토론회 성료
지부·분회·학회 유기적 운영 필요성 공감
▲ (사진제공_경기도치과의사회)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경기도치과의사회(회장 전성원·이하 경기지부)가 지난 6월 24일 경기지부회관에서 ‘급여기준 개선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경기지부 임원진을 비롯해 대한치과의사협회(이하 치협) 설유석 보험이사, 대한치과보험학회 진상배 회장, 하남시치과의사회 양익성 회장, 경기지부 보험위원회 심재한 위원 등이 참석했다.
치과계의 급여기준 개선을 위한 노력을 되짚어보는 것을 시작으로, 경기지부 회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급여기준 개선 의견 및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깊이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또한 지부·분회·학회가 중간다리 역할을 충실히 해 급여기준 개선에 대한 회원의 요구를 치협과 관계기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는 △시대적 변화와 상황에 따라 변동되는 보험에 대한 교육시스템 마련 △지부 보험위원회 역량 강화 △수임사항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정책 로드맵 구축 △유관기관과의 꾸준한 소통을 통한 정책 실현 가능성 높이기 △관련 학회의 이론적 근거 반영을 통한 보험 필요성 확보 등이 제시됐다.
경기지부 전성원 회장은 “치과계뿐만 아니라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급여기준 개선 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 (사진제공_경기도치과의사회)
..
[치과신문] 경기도치과의사회, 급여기준 개선 토론회 성료
지부·분회·학회 유기적 운영 필요성 공감
▲ (사진제공_경기도치과의사회)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경기도치과의사회(회장 전성원·이하 경기지부)가 지난 6월 24일 경기지부회관에서 ‘급여기준 개선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경기지부 임원진을 비롯..
|
|
|
|
|
치은염·치주질환 환자 2000만 명 육박 |
치은염·치주질환 환자 2000만 명 육박
5년 새 300만 명 증가, 부동의 1위치아우식 제자리, 치수질환 ‘뚝’
치은염 및 치주질환 환자 2000만 명 시대가 목전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최근 다빈도 질병 통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치은염 및 치주질환’으로 치과를 내원한 환자는 1958만8686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치은염 및 치주질환 환자는 최근 5년간 한 해도 빠짐없이 증가하며, 국민 다빈도 질병 순위에서 부동의 1위를 지켰다. 지난 2020년 약 1637만 명이었던 환자 수는 이듬해인 2021년 약 1740만 명으로 1년 새 103만 명가량 증가했다. 이어 2022년에는 약 1801만 명, 2023년에는 약 1883만 명까지 늘었다.
즉, 치은염 및 치주질환 환자는 매년 적게는 60만 명, 많게는 100만 명 이상 꾸준히 증가해 온 셈이다. 이로써 미뤄보면 내년에는 2000만 명을 돌파하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같은 기간 다빈도 질병에 포함된 치과 질환 중 ‘치아우식’은 제자리걸음, ‘치수 및 근단주위조직의 질환’은 큰 폭으로 후퇴했다.
‘치아우식’ 환자는 지난 2020년 약 618만 명이었으나, 지난해에는 약 626만 명으로 8만 명가량 늘었다. 하지만 이 기간 환자 수는 지난 2022년 약 617만 명으로 줄거나, 2021년 약 636만 명으로 치솟기도 하는 등 일진일퇴하는 양상을 보였다. 순위도 4~6위권을 맴돌았다.
반면 ‘치수 및 근단주위조직의 질환’ 환자는 내림세가 뚜렷했다. 지난 2020년 약 396만 명이었던 환자 수는 2021년 약 374만 명, 2022년 약 353만 명, 2023년 약 341만 명까지 줄더니, 지난해에는 약 331만 명을 기록하며 5년 새 무려 65만 명 감소했다. 그만큼 순위도 11위에서 19위로 크게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
치은염·치주질환 환자 2000만 명 육박
5년 새 300만 명 증가, 부동의 1위치아우식 제자리, 치수질환 ‘뚝’
치은염 및 치주질환 환자 2000만 명 시대가 목전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최근 다빈도 질병 통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치은염 및 치주질환’으로 치과를 내원한 환자는 1958만8686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치은염 및 치주질환 환자는 최근 5년간 한 해도 빠짐없이 증가하며, 국민 다..
|
|
|
|
|
지난해 치과의원 보험 임플란트 심사 1조870억 원 |
지난해 치과의원 보험 임플란트 심사 1조870억 원
행위는 85만9000여 건, 5년간 꾸준히 증가치과병원 570억 원대, 4만2000여 건 심사여성이 남성보다 행위 1만3000여 건 많아
지난해 심사된 치과의원의 보험 임플란트 규모가 약 1조870억 원으로 집계됐다. 횟수도 85만 건을 돌파해, 치과 임플란트에 대한 높은 사회적 요구를 방증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최근 진료 행위별 통계를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 게시했다.
특히 이 가운데 보험 임플란트의 경우, 심사년도 기준 치과의원 자료를 분석해 보면 지난해 총 진료금액 규모가 약 1조870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치과의원의 보험 임플란트 진료금액은 최근 5년간 꾸준히 꾸준히 증가해 왔다. 지난 2020년 약 8634억 원에서 2021년 9212억 원으로 증가한 데 이어, 2022년에는 1조55억 원으로 1조를 돌파했으며, 2023년에는 1조615억 원까지 늘었다.
행위량도 유사하게 증가했다. 지난해 치과의원의 보험 임플란트 행위량은 1단계 심사 기준 85만9000여 건에 달했다. 최근 5년을 분석해 보면 ▲2020년 75만8000여 건 ▲2021년 79만9000여 건 ▲2022년 84만7000여 건 ▲2023년 86만4000여 건을 기록했다. 2023~2024년을 제외하면 매해 꾸준히 성장한 셈이다.
치과병원에서도 보험 임플란트 증가 추세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같은 자료에서 지난해 치과병원의 총 진료금액 규모는 약 571억 원이었다. 또 최근 5년 추이를 들여다보면 ▲2020년 약 467억 원 ▲2021년 약 487억 원 ▲2022년 약 521억 원 ▲2023년 약 564억 원으로 꾸준히 늘었다.
이어 1단계 기준 심사 행위량은 ▲2020년 3만8000여 건 ▲2021년 4만여 건 ▲202..
지난해 치과의원 보험 임플란트 심사 1조870억 원
행위는 85만9000여 건, 5년간 꾸준히 증가치과병원 570억 원대, 4만2000여 건 심사여성이 남성보다 행위 1만3000여 건 많아
지난해 심사된 치과의원의 보험 임플란트 규모가 약 1조870억 원으로 집계됐다. 횟수도 85만 건을 돌파해, 치과 임플란트에 대한 높은 사회적 요구를 방증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최근 진료 행위별 통계를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
|
|
|
|
|
사상 최악 역경 속 치과 수가협상 즉적 '타결' |
사상 최악 역경 속 치과 수가협상 극적 타결
인상률 2%, 상대가치점수당 100원대 첫 돌파예측불허 외부 요인 산재, 검토‧판단에 난항마경화 단장 “19년 중 가장 힘든 협상” 평가
▲ 2026년도 요양급여비용 계약을 위한 협상이 지난 30일 개시된 가운데, 치협 수가협상단은 이튿날인 오늘(31일) 새벽 2시경 타결을 선언했다. 사진은 타결 후 협상장을 나서는 마경화 치협 협상단장.<천민제 기자>
2026년도 치과 요양급여비용 인상률이 2%로 타결됐다. 지난해보다는 1.2%p 하락한 결과로 다소 아쉬움을 남기기는 했으나, 의정 갈등이 야기한 사상 초유의 사태를 염두에 두고 보자면 오히려 실현 가능한 최대한의 결과를 도출해 냈다고 평가된다.
치협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2026년도 요양급여비용 계약을 위한 협상(이하 수가협상)이 지난 30일 건보공단 영등포남부지사 스마트워크센터에서 열린 가운데, 오늘(31일) 모든 유형이 타결하며 협상을 마쳤다.
특히 올해 수가협상은 개시 전부터 극심한 난항이 예고된 상황이었다. 의정 갈등의 파동으로 단체별 인상률 우선순위 책정의 핵심 지표인 SGR(Sustainable Growth Rate) 모형이 기존과 다른 양상으로 크게 일그러졌으며, 그로 인해 밴드의 상당 부분을 점유해 온 병원 유형이 비교 우위를 차지해 타 유형 협상에 큰 경색을 일으켰다는 분석이 제기된 탓이다.
그리고 이 같은 우려는 수가협상에서 그대로 적중했다. 치협은 앞선 30일 오후 7시 협상에 돌입해, 장장 7시간에 걸친 마라톤 줄다리기를 펼쳤다. 그리고 자정을 넘긴 31일 오전 2시경 인상률 최종 2%로 타결을 선언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2배 이상 시간을 소요한 셈으로, 그만큼 올해 협상 과정이 지난했다고 풀이된다.
..
사상 최악 역경 속 치과 수가협상 극적 타결
인상률 2%, 상대가치점수당 100원대 첫 돌파예측불허 외부 요인 산재, 검토‧판단에 난항마경화 단장 “19년 중 가장 힘든 협상” 평가
▲ 2026년도 요양급여비용 계약을 위한 협상이 지난 30일 개시된 가운데, 치협 수가협상단은 이튿날인 오늘(31일) 새벽 2시경 타결을 선언했다. 사진은 타결 후 협상장을 나서는 마경화 치협 협상단장.<천민제 기자>
2..
|
|
|
|
|
돌봄통합지원법 시행, 치과계 대응 방안은? |
돌봄통합지원법 시행, 치과계 대응 방안은?
고령사회포럼, 3월 26일 심포지엄…각계 전문가와 현실적 대안 강구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고령사회치과의료포럼(대표 진보형·이하 고령사회포럼)이 오는 3월 26일 ‘돌봄통합지원법 시행과 치과계의 대응’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대한노년치의학회, 대한여성치과의사회,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대한장애인치과학회, 대한치과보험학회가 참여하고 있는 고령사회포럼은 2023년 3월 발족 후 고령사회 구강보건의료에 대한 연구와 관심을 이어왔다. 이번 심포지엄은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을 1년 앞둔 시점에서 준비현황과 발전을 위한 제언을 들어보는 시간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첫 번째 세션은 진보형 대표를 좌장으로 ‘돌봄통합지원법 제정과 준비 현황’을 짚어본다. △돌봄통합지원법의 주요 내용과 하위 법령 제정 방향(장민선 박사·한국법제연구원)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 사업 추진 경험과 향후 준비 과제(유애정 센터장·건보공단 통합돌봄지원센터) 발표가 이어진다.
‘범의료계의 준비와 제언’을 다룰 두 번째 세션은 △지역 중심 돌봄체계 강화를 위한 보건의료의 과제(윤주영 교수·서울대 간호학과) △돌봄통합지원을 위한 방문치과진료 모형 확립:접근성 다각화 및 내실화(이성근 원장·前대한노년치의학회장) 발표가 예정돼 있다. 고홍섭 前대표가 좌장으로 질의응답과 종합토론으로 이어진다.
고령사회포럼 진보형 대표는 “돌봄의 개념은 단순한 복지 차원을 넘어 법적·제도적 틀 속에서 더욱 체계적으로 준비되고 있으며, 치과계 또한 적극적인 대응과 새로운 역할 정립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따른 치과계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정책적·실무적 차원에서 효과적인 해결..
돌봄통합지원법 시행, 치과계 대응 방안은?
고령사회포럼, 3월 26일 심포지엄…각계 전문가와 현실적 대안 강구
[치과신문_김영희 기자 news001@sda.or.kr] 고령사회치과의료포럼(대표 진보형·이하 고령사회포럼)이 오는 3월 26일 ‘돌봄통합지원법 시행과 치과계의 대응’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대한노년치의학회, 대한여성치과의사회,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대한장애인치과학회, 대한치과보험학회가 참여하고 있는 고령사회포..
|
|
|
|
|